북한의 공식 기념일



Public holidays & Festivals in North Korea 
As of 2017, North Korea has 71 official public holidays, including Sundays.


북한의 공식 명절, 기념일

Date Name Notes
1월 1일
1 January
새해
New Year's Day
양력 새해이다.
1월 15일
15 January
조선글날
Chosongul Day
한글날과 같은 의미이다.
2월 8일
8 February
조선인민군 창건일
Army Day
1948년 2월 8일에 있었던 인민군 창건을 기념한다. 2월 8일을 군 창건기념일로 해오던 것을 김일성 주석이 만주에서 조선 인민 혁명군(항일 유격대)을 조직(1932년)한 날인 4월 25일로 변경했다. 2015년 다시 2월 8일로 옮겼다. 2.8절로도 부른다. 4월 25일은 조선인민혁명군 창건일로 남겨두었다.
2월 14일
14 February
김정일대원수칭호기념일
Generalissimo Day
2012년에 김정일이 북한의 대원수 지위를 가지게 된 것을 기념한다.
2월 16일
16 February
광명성절
Day of the Shining Star
김정일 생일(1941.2.16) 가장 큰 기념일 중 하나이다. 두번째 중요한 날로 볼 수 있다. 이틀간 휴일이다.
3월 2일
2 March
식수절
Tree Planting Day
1971년에 시작한 식수절은 4월 6일이었으나 1999년부터는3월 2일로 옮겼다. 김일성과 김정일이 모란봉에서 산림조성구상을 한것이다. 1946년 3월2일이라고 한다.
3월 8일
8 March
국제부녀절
International Women's Day
미국에서 시작한 세계 여성의 날이다. 부녀자들이 함께 놀이도 하고 음식도 나눠먹는다.
음력 1월 1일
1st day of 1st lunar month
설날
Seollal
음력 새해이다.
4월 15일
15 April
태양절
Day of the Sun
김일성의 생일이다. 가장 중요한 기념일이다. 3일간 휴일이다.
4월 21일
21 April
강반석 출생일Kang Pan-sok's birthday 김일성의 어머니인 강반석의 생일을 기념하는 날이다. 康盤石(1892년 4월 21일 ~ 1932년 7월 31일)은 김일성의 어머니로, 일제 강점기의 사회운동가이다.- 위키피디아.
25 April 인민군 창건일
Military Foundation day
북한은 조선인민군을 1948년 2월 8일 창설하였으나, 조선인민군의 창건일을 김일성이 항일무장투쟁시 1932년 4월 25일 결성한 반일인민유격대의 창군일로 소급해 조선인민혁명군 창건일이라 했다.
음력 1월 15일
15th day of 1st lunar month
대보름
Daeboreum
정월 대보름이다.
음력 2월 1일
1st day of 2st lunar month
머슴날
Meoseumnal
머슴날은 한국에도 있는 세시 풍속으로, 음력 2월 1일에 농가에서 머슴에게 술과 음식을 내놓고 위로하며 농사를 부탁하는 날이다.
음력 3월 3일
3rd day of 3rd lunar month
삼짇날
Samjinnal
삼짇날, 삼월 초사흗날이다. 동아시아의 명절이다. 이 날이 되면 강남 갔던 제비가 다시 돌아온다고 한다. 삼짇날에는 주로 화전(花煎)을 먹는 풍습이 있다.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날
105th day of after Winter Solstice
한식
Hansik
동지로부터 105일 째의 날이며 양력이다. 4월5, 6일 경이다.
음력 4월 8일
8th day of 4th lunar month
초파일
Chopail
初八日은 부처님 탄생일을 말한다. 초팔일을 말하는데 부처님 오신날을 뜻할 때는 속음인 초파일로 읽는다. 초여드레날을 가리킬 때는 본음인 초팔일로 읽는다.
5월 1일
1 May
노동절
Labour Day
근로자의 날. 노동절.
6월 6일
6 June
조선소년단 창립절
Korean Children's Union Foundation Day
1946년 이후로 기념하였다.
6월 19일
19 June
김정일 당 사업 개시일
Anniversary of Kim Jong Il's commencement of work in the Workers' Party Central Committee
공식적으로는 2015년부터 기념하였으나 비공식적으로는 그 이전부터 식을 치뤘다. 김정일이 김일성종합대학을 1964년 졸업하고 당에서 본격 일을 시작한 것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음력 5월 5일
5th day of 5th lunar month
수릿날
Surinal
단오로도 부른다.
7월 3일
3 July
전략군절
Day of the Strategic Forces
2016년 새롭게 지정되었다. 전략군이 1999년 7월 3일 창설된 것을 기념한다.핵무장력을 바탕으로 한는 전략로케트군을 창설해 자위적 핵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튼튼한 토대를 마련한다라고 강령에 쓰고 있다.
7월 27일
27 July
조국해방전쟁 승리의 날
Day of Victory in the Great Fatherland Liberation War
1953년 한국전쟁을 끝난것을 기념한다.
8월 15일
15 August
조국해방의 날
Liberation Day
1945년 일본으로부터 해방한 것을 기념한 광복절이다.
8월 25일
25 August
선군절
Day of Songun
선군정치를 시작한날을 기념한다. 김정일이 김일성과 같이 1960년 8월 25일 류경수 105근위 땅크사단을 현지 지도한 날을 기려 2000년대 초에 선군혁명 영도 기념일로 지정했다가 2005년 6월에 선군절로 정했다. 2013년 8월 25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선군영도 개시 50주년을 맞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에서 선군절을 휴식일로 제정했다.
9월 9일
9 September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창건일
Day of the Foundation of the Republic
1948년 북한 정부 수립을 기념한다.
음력 6월 15일
15th day of 6th lunar month
유두일
Yudu
유두절, 유두일로 불린다. 중국과 겹쳐 있는 명절이 많으나 유두일은 한국고유의 명절이다.流頭日로 '동국세시기' 등에 따르면 동쪽을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 풍속이 대표적이다. http://m.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5489&bbsId=BBSMSTR_1008&mc=MS_05_02
음력 7월 7일
7th day of 7th lunar month
칠석
Chilseok
견우 직녀가 만나는 날이다. 이 설화는 한중일 모두 공유한다.
음력 7월 15일
15th day of 7th lunar month
백중
Baekjung
서양에는 중국의 Ghost Festival로 알려져 있다. 백중날이라고 불리고 조상에게 제를 지내기 때문에 亡魂日로도 불린다. 한중일베트남 등 불교문화권에서 성대하게 지낸다.
음력 8월 15일
15th day of 8th lunar month
한가위
Hangawi
추석이다.
10월 10일
10 October
조선노동당 창건일
Party Foundation Day
조선노동당(Workers' Party of Korea)의 창건을 기념한다.
음력 9월 9일
9th day of 9th lunar month
중양절
Jungyangjeol
중국에서 유래된 명절로 중양절(重陽節)은 한중일 베트남 등에서 지낸다. 서양에는 Double Ninth Festival로 알려져 있다. 국화와 관련된 풍습이 많다. 국화전을 먹거나 국화주를 마신다. 중국의 설화와 관련되어 있는데 이야기는 이러하다. 한나라 때 미래를 보는 비장방(費長房)이라는 도인이 어느 날 학생인 항경(恒景, 桓景)에게 9월 9일에 이 집안에 큰 재앙이 닥칠 것이니 수유(茱萸)를 담은 가방을 메고 산에 올라가 국화주를 마시면 재난을 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항경이 가족을 데리고 산에 올라갔다가 집에 돌아오자 집에서 키우는 가축들이 모두 죽어 있었다.
11월 16일
16 November
어머니날
Mother's Day
2012년에 지정되었다.
12월 20일
20 December
동지
Dongji
동지이다.
12월 24일
24 December
김정숙 생일
Kim Jong-suk's birthday
김정일 생모의 생일이다. 중요 기념일 중 하나이다.
12월 27일
27 December
헌법절
Constitution Day
1972년 12월 사회주의 헌법 채택하고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으로 헌법절을 정하였다. 북한의 헌법은 1948년 9월 개최된 최고인민회의 제1기 1차회의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이라는 명칭으로 처음 제정된 후 50년만인 1998년 9월 주석제를 폐지하고 국방위원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의 헌법 수정에 이르기까지 8차례 개정됐다.


북한의 달력은 아래의 링크로 볼 수 있다.

http://nkinfo.unikorea.go.kr/nkp/main/calendarDetail.do

No comments:

Powered by Blogger.